전체 글 45

심리학의 주요학자 (16)

어제에 이어서 비고츠키 심리학자에 대해서 마지막까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오늘은 불타는 금요일이에요! 모두 행복한 금요일 되세요~! 오늘도 고생하셨어요!! M. G. 야로 셰프 스키에 따르면, 발달심리학 및 인지심리학에 있어 개척자적인 비고츠키의 연구는 1934년부터 소련의 심리학자인 보리스 아나니예프의 비판받게 되었습니다. 야로 셰프 스키를 비롯한 일부 학자는 이러한 비판이 비고츠키 학설에 대한 스탈린의 집요한 공격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하였습니다. 하지만, 안톤 야스나츠키에 따르면 비고츠키 연구는, 그의 사후인 1930년대 후반에도 여전히 소비에트 연방의 주요 심리학 연구로 거론되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도 비고츠키의 학설은 스탈린 집권기에도 금지된 바 없습니다. 야스나츠키에 의하면, 1930년대부터 학파..

심리학 2022.11.25

심리학의 주요학자 (15)

어제는 몸이 너무 안 좋아져서 공부를 못했네요. ㅜㅜ 오늘은 놈 촘스키의 언어학에 대한 기여부터 적어보도록 할 거예요! 그리고, '언어로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련지어 설명'한 [ 레프 세메노비치 비고츠키 ]에 대해서도 살짝 맛보기로 알아볼 예정이에요. #. 언어학에 대한 기여 촘스키 언어학은 《변형생성문법의 온》에서 시작하여, 1955년 정리한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에서 절정을 이루었습니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도전했으며, 변형생성문법의 이론을 소개하였습니다. 1960년대부터 촘스키는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

심리학 2022.11.24

심리학의 주요학자 (14)

오늘은 '잠재학습 연구'로 이름을 알린 [ 에드워드 사례 틀면 ] 과 '언어 심리학자' [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의 생애에 대해서 자세하게 하나하나 적어보려고 해요. 두 분 다 저는 처음 듣는 이름이거든요. 에이브럼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이름이랑 비슷하다고만 생각이 드는데요. 한번 한 분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 먼저 에드워드 사례 톨만(1886년 4월 14일 ~ 1959년 11월 19일)은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미국 심리학자이자 심리학 교수였습니다. 사례 톨만의 이론과 연구작업을 통해 현재 행동주의로 알려진 심리학의 한 분야를 형성시키게 되었습니다. 체이스 톨만은 또한 불로 제트가 처음 고안한 잠재학습이라는 개념을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했습니다. 2002년에 발간..

심리학 2022.11.22

심리학의 주요학자 (13)

오늘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아버지'인 칼 랜섬 로저스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해요. 먼저, [인본주의]란? 인간의 가치를 주된 관심사로 삼는 사상인데요. 흔히 세 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하는 경향이 많죠. 첫 번째는, 인간의 고통을 극소화하고 복지를 증진하려는 모든 도덕적, 사회적 운동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고! 두 번째는 신이나 자연이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오직 인간성만이 존귀하다고 믿는 실증주의적 인간성 숭배의 사상을 일컫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하고 그 인격성만을 주장하는 신학 사상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된다고 해요. 이러한 인본주의로 심리학을 바라본 칼 로저스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할게요. 칼 랜섬 로저스(1902년 1월 8일 ~ 1987년 2월 4..

심리학 2022.11.21

심리학의 주요학자 (12)

안녕하세요! 즐거운 불타는 금요일의 미이킹입니다! 오늘은 매슬로의 전체라고 할 수 있는 '욕구 위계 이론'에 대해 적어보려고 해요. 제 머나먼 기억 속에는 학교에서도 배웠었던 것 같아요. 도... 덕...? 시간이었던 것 같은데요. 여러 책에서도 아주 다양하게 설명된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 한번 제대로 알아볼게요! #. 욕구 위계 이론 1. 생리적 욕구 2. 안전에 대한 욕구 3. 애정 및 소속에 대한 욕구 4. 존경에 대한 욕구 5.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 이렇게 총 5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이제 자세하게 적어볼 건데요! #. 욕구 단계설 매슬로는 자아실현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어떻게 하면 잠재성을 발현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습니다. 인간에 대해서 전체적이고 역동적인 ..

심리학 2022.11.18

심리학의 주요학자 (11)

이번 글에서는 매슬로의 생애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뭔가 굉장히 익숙한 이름이다 보니 좀 더 흥미가 느껴지네요. 두근두근! 과연 그가 태어나서 자라고 어떻게 연구하였는지 하나하나 적어보도록 할게요. #. 생애 - 출생과 성장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매슬로는 유대계 러시아인 이민자 가정에서 일곱 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부모는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지만 대한 교육 열정이 높았으나 흑인에 대한 편견에 사로잡혀 있던 어머니와의 사이는 좋지 않았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수줍음이 많고 소극적인 성격에 겁도 많았습니다. 백인들이 많았던 학교에 진학했던 탓에 선생님, 친구 등 주변인들의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 때문에 성장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친구가 많지 않았기에 도서관에..

심리학 2022.11.17

심리학의 주요학자 (10)

전 글에서 잠깐 맛보기로 봤던 스탠리 밀그램 심리학자와! 그 다음엔 '스탠퍼드 감옥 실험, 루시퍼 이펙트'로 유명한 [ 필립 짐바라도 ] 심리학자와, 마지막으로! 진짜 진짜 유명한 분이죠! '매슬로의 욕구 제 단계 이론' 으로 널리 알려진 [ 에이브러햄 매슬로 ] 심리학자를 맛보기로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 지금부터 스탠리 밀그램의 생애와 그의 삶을 하나하나 적어보도록 할게요. #. 생애 (초기생애) 스탠리 밀그램은 1933년 뉴욕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헝가리인 아버지와 루마니아인 어머니의 아이로 태어났습니다. 밀그램의 아버지, 사무엘은 빵집 주인으로 일하며 얼마 되지 않는 수입으로 1953년 사망할 때까지 가족을 부양하였습니다. (그 이후로 스탠리의 어머니, 아델이 빵집을 이어받아 운영했습니다) 밀그램은..

심리학 2022.11.16

심리학의 주요학자 (9)

벌써 일주일의 중간이 되었어요~! 모두 힘내시고 계신가요?! 저는 오늘! '보상 처벌 이론, 처벌 금지 법안'을 연구한 학자인 [ 벌루스 스키너 ] , '논문 "제정신으로 정신병원에 들어가기"' 고 유명한 [ 데이비드 로젠한 ] , 마지막으로! '밀 그램 실험, 권위에의 복종'의 심리학자 [ 스탠리 밀그램 ]에 관해서 공부해볼까 합니다. 자, 그럼 먼저 벌루스 스키너에 대해 적어볼게요!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는 미국의 영문학자이자 심리학자입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교육과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1958년부터 1974년 은퇴할 때까지 심리학과의 교수였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로 불리는 조작적 조건화 상자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

심리학 2022.11.16

심리학의 주요학자 (8-1)

"발달 이론의 대부" 이자, 지능을 수식으로 표현한 [ 장 피아제 ]. 바로 전 글에서 발달 단계에 대해서까지 적으면서 알아보았는데요! 심리학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심리학이랑 인지발달이랑 무슨 관계냐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사물을 인지하는 것에는 우리가 모두 당연하게 느끼는 것이지만 '생각'도 들어간다고 하거든요. 이 '생각' 이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심리학과 관련이 있지 않나... 하는 미이킹의 개인 견해였습니다~ 짝짝짝. 저는 전문가가 아니므로 제 생각이 잘못되었어도 지적보다는 존중 부탁드릴게요~^^ 자, 이제 바로 전 글에서 발달단계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았었는데요!. 그러나 전적으로 단계적인 과정은 아니라고 합니다. 새로운 단계로 올라가면, 지식과 통찰이 효과적임을 알게 되면서 이 지..

심리학 2022.11.15

심리학의 주요학자 (8)

벌써 23명의 심리학자 중 11번째가 되었어요! 오늘은 "발달 이론의 대부" 이자, 지능을 수식으로 표현한 [ 장 피아제 ]에 대해서 적어보려 해요. 오늘도 다들 힘내세요! 자, 먼저 장 피아제(1896년 8월 9일 ~ 1980년 9월 16일)는 스위스의 철학자, 자연과학자이며 발달심리학자입니다. 어린이의 학습에 대한 연구인 인지발달이론과 자신의 인식론적 관점인 "발생적 인식론"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55년 제네바에 발생적 인식론 국제 센터를 창립했고, 1980년까지 지도적 위치를 맡았습니다. 에른스트 핸드폰 글라저스펠트는 피아제는 "구성주의 인식론의 위대한 선구자"라고 하였답니다. #. 생애 피아제는 1896년 스위스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뇌샤텔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 사망했습니다. 그의 ..

심리학 202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