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심리학의 주요학자 (14)

미이킹 2022. 11. 22. 17:50
반응형


오늘은 '잠재학습 연구'로 이름을 알린 [ 에드워드 사례 틀면 ] 과 '언어 심리학자' [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 ]의 생애에 대해서 자세하게 하나하나 적어보려고 해요. 두 분 다 저는 처음 듣는 이름이거든요. 에이브럼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이름이랑 비슷하다고만 생각이 드는데요. 한번 한 분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자, 먼저 에드워드 사례 톨만(1886년 4월 14일 ~ 1959년 11월 19일)은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미국 심리학자이자 심리학 교수였습니다. 사례 톨만의 이론과 연구작업을 통해 현재 행동주의로 알려진 심리학의 한 분야를 형성시키게 되었습니다. 체이스 톨만은 또한 불로 제트가 처음 고안한 잠재학습이라는 개념을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했습니다. 2002년에 발간된 일반 심리학 리뷰는 톨만을 20세기의 45번째로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로 선정했습니다.





--- 에드워드 체이스 톨만은 잠재학습이라는 개념을 인식한 심리학자네요! '잠재'라는 단어는 저희한테도 굉장히 익숙한 단어인데요. 이 전에는 잠재학습이라는 개념은 있었지만 중요치 않게 다뤄졌던 모양이에요!







이다음은, 언어 심리학자인 [ 에이브럼스 놈 촘스키 ] 심리학자에 대해 알아볼게요!





에이브럼스 놈 촘스키(1928년 12월 7일 ~ )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 과학자, 역사가, 사회비평가, 정치운동가, 아나키스트, 저술가이며, 좌파(학자 중에서도 좌파, 우파가 나뉘는데 좌파의 또 다른 이름은 좌익입니다. 평등을 추구하고 사회계급과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 하는 정치적 입장으로, 우익과 대립하는 개념입니다. 이에 따라 좌익은 기존의 사회적 계층에 반발하고 큰 정부와 국가 권력의 간섭에 의한 불평등의 해소를 추구하고 인류의 보편적 평등을 보장함으로써 사회가 좀 더 이상적으로 변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경제적인 입장과는 별개로 기존의 사회계급에 반대하는 진보주의적인 사상들을 가리키는 단어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사회주의와 생태주의, 공산주의, 평등주의, 급진주의 등이 대표적인 좌익 사상입니다.) 학자입니다.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로 묘사되기도 하며, 현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명예교수이며, 애리조나 대학교의 교수라고 합니다.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만들어낸 학자로 유명하여 20세기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언어학자로 존경받고 있습니다. 그는 철학 분야에서 1950년대에 주류였던 B.F.스키너의 언어 행동을 연구 행동주의자들을 비판하여 인식의 혁명을 불러일으킨 인지과학의 선구자이기도 합니다. 그의 자연주의적인 언어학의 접근은 정신과 언어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촘스키는 1956년에 형식언어를 생성하는 형식 문법의 부류들 사이의 위계인 촘스키 위계를 만들었습니다. 그는 예술 및 인문학 인용 색인에 의하면 1980년부터 1992년 사이에 촘스키는 생존해 있는 학자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이고, 역대 인물 중 여덟 번째로 자주 인용되는 학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때부터 촘스키는 미디어 비평과 정치적 행동으로 인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의 정치적 행동과 비평은 특히 미국의 제국주의 정책에 대한 비판과 인권옹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 생애



놈 촘스키는 1928년 12월 7일,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부근의 이스트 오크 레인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1913년에 미국으로 이민을 온 우크라이나 출신의 윌리엄 촘스키(1896년~1977년)로 히브리어 언어학자였습니다. 중세 히브리어 문법 전문가였던 윌리엄 촘스키는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기도 했습니다. 아버지 윌리엄 촘스키가 사망하자 뉴욕 타임스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히브리 문법학자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하며 그의 죽음을 알렸습니다. 아버지는 촘스키가 언어학자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친 인물입니다.

어머니는 그라츠 대학의 교수였던 엘지 시모노프 스키로, 벨라루스 태생이지만 1906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뉴욕에서 성장한 여성이었습니다. 촘스키는 1930년대 아일랜드계 천주교인과 독일계 천주교인들의 반유대주의와 갈등을 경험하며 성장했다고 합니다.

필라델피아 중앙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부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언어학을 공부하였습니다. 이때 철학자인 C.웨스트 처치 맨다고 넬슨 굿맨과 언어학자인 젤리그 해리스가 그의 스승이었습니다. 특히 해리스는 그에게 언어 구조의 수학적 분석을 통한 변형의 발견을 알려주었으며 이후 촘스키는 이를 문맥에서 분리된 문법의 형성에 대한 해석으로 발전시켰습니다. 해리스는 또한 그의 정치적 견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951년 촘스키는 박사 논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소론》에서 빠른 답의 1938년 변형규칙(vs. 형태 규칙) 개념의 변형 형태로서 해리스와는 다른 문법적 변이 개념의 재해석된 개념으로서의 형태소 규칙을 언급하였습니다.

1949년 언어학자인 캐럴 셔츠와 결혼하였으며 딸 둘 아들 하나를 낳았습니다. 1955년에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주니어 펠로 장학생으로 하버드 대학에서 4년간의 박사학위 과정 일부를 수행하였습니다.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준비한 언어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을 정리하여져서《 변형생성문법의 이론》(1957)을 펴냈습니다.

1955년에 MIT에 합류했으며 1961년에 언어학과 현대 언어와의 전임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통어 이론의 제상 》(1965) 《영어의 음성체계》(1968 저작 활동을 통해 생성문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50여년간 MIT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그동안 80여권의 저서와 100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1967년 2월 "지성인의 의무"라는 에세이를 발표하여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알렸습니다.

2008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촘스키의 책인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두 권을 '불온서적'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촘스키는 "자유를 두려워하고 사상과 표현을 통제하려는 이들이 늘 있게 마련이며 (대한민국의) 국방부가 그 대열에 합류한 것은 불행한 일이다. 아마도 국방부를 `자유민주주의에 반대하는 국방부로 개명해야 할 것 같다."라고 비판하며, 자신의 책들은 고르바초프 이전 소련에서도 금지된 바 있다고 밝혔습니다.

촘스키는 그의 미국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 때문에 여러 차례 살해 협박과 위협을 받기도 하였는데요. 그는 유나바머로 더 잘 알려진, 테오도르 카잔스키에 의해 작성된 계획된 타깃 리스트에도 올랐다고 합니다. 카잔스키가 잡히지 않은 기간 동안, 촘스키는 그의 우편물 모두에 폭발물 검사를 했습니다. 그는 그가 종종 경찰 보호를 받았다고 말하는데, 특히 MIT 캠퍼스에 있을 때였지만 그는 경찰 보호에 동의하진 않았다고 합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의 주요학자 (16)  (0) 2022.11.25
심리학의 주요학자 (15)  (0) 2022.11.24
심리학의 주요학자 (13)  (0) 2022.11.21
심리학의 주요학자 (12)  (0) 2022.11.18
심리학의 주요학자 (11)  (0) 2022.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