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심리학의 주요학자 (9)

미이킹 2022. 11. 16. 17:50
반응형

벌써 일주일의 중간이 되었어요~! 모두 힘내시고 계신가요?! 저는 오늘! '보상 처벌 이론, 처벌 금지 법안'을 연구한 학자인 [ 벌루스 스키너 ] , '논문 "제정신으로 정신병원에 들어가기"' 고 유명한 [ 데이비드 로젠한 ] , 마지막으로! '밀 그램 실험, 권위에의 복종'의 심리학자 [ 스탠리 밀그램 ]에 관해서 공부해볼까 합니다. 







자, 그럼 먼저 벌루스 스키너에 대해 적어볼게요!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는 미국의 영문학자이자 심리학자입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자로 교육과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1958년부터 1974년 은퇴할 때까지 심리학과의 교수였습니다. "스키너의 상자"로 불리는 조작적 조건화 상자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행동주의가 보다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행동의 실험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실험 연구 학과를 창시했으며 심리학에 있어 연관된 변수에 의한 반응률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켰습니다. 그가 또한 주창한 강화기에 대한 이론을 만들기 위해 행동의 반응률을 측정하는 누적 합산 기도 만들었습니다. 그의 연구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학적 연구로 인정받고 있으며 21권의 책과 180편의 글을 남겼습니다. [ 21권의 책도 엄청난데, 180편의 글까지?! 사람이 살면서 1권의 책도 쓰기 힘들다고 하거든요. 정말 대단한 학자라는 것을 또 새삼스럽게 알게 되네요. 제 사담이었습니다~ ]



#. 생애



1904년 3월 20일에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서스쿼해나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윌리엄 스키너는 법률가였습니다. 젊었을 때는 작가가 되고 싶어 뉴욕에 있는 해밀턴 대학에 다녔습니다. 1926년에 영문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작가로서의 재능이 없다는 것을 깨달은 뒤에는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과에서 대학원을 다니게 되었습니다. 이 동안 조작적 조건화를 실험하는 "스키너의 상자"를 만들게 되었으며 누가기록이기도 만들었습니다. 이를 이용한 반응률은 심리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종속변수가 되었으며 강력한 실험 연구의 방법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193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36년까지 연구원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 뒤, 미네소타 대학과 인디에나 대학에서 가르쳤고, 1948년 정년 보장을 받는 교수직을 하버드에서 시작하게 되었으며, 그 뒤로 계속 하버드 대학교에서 몸담고 연구하게 됩니다. 스키너가 사망하기 직전에 실시한 설문조사(Kom, Davis, & Davis, 1991)에서는 심리학사를 연구하는 학자와 대학원 심리학과 학과장들을 대상으로 10명의 가장 유명한(동시대와 전 심리학사를 통틀어) 심리학자의 서열을 매기게 하였습니다. 이 설문조사에서 스키너는 전 심리학사를 통틀어서는 8위에, 그리고 동시대의 심리학자 중에서는 1위에 올랐습니다. 학과장들은 두 가지 리스트 모두를 고려해서 스키너를 1위에 올렸습니다. 1968년에는 미국 국립과학협회로부터 공로상을 받았으며, 1971년과 1990년에 미국심리학회로부터 각각 골든 메달과 평생공로상을 받았습니다.



#. 스키너 상자



스키너 상자는 손다이크의 퍼즐 상자와 비교되는 중요한 실험 과정을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그가 부가적으로 사용한 스키너상자의 누가 반응 기록지 방법은 조작적 조건형성이라는 연구 이론에서뿐만 아니라 생리심리학, 동물행동학 등 광범위하게 그 영향을 끼쳤습니다.



#. 저서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저서 월든데 감명받은 스키너는 월든 투(1948)라는 저서를 출판하였습니다.







--- 여기까지 [벌 루스 스키너] 심리학자에 대한 것을 글로 적어보았는데요! 스키너가 왜 익숙하지 스키너 상자로 제가 이미 공부해서 알고 있던 거였어요! 하지만 스키너 상자를 [스키너]학자가 알아낸 거였군요... 이건 몰랐네요. 

이제 다음으로 [ 데이비드 로젠한 ] 심리학자에 대해서 적어볼게요.





데이비드 로젠한(1929년 11월 22일 ~ 2012년 2월 6일)은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그는 '로젠한 실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오.. 드디어 2000년대의 심리학자가! 나왔어요! )



#. 로젠한 실험



1973년 데이비드 로젠한은 논문 "제정신으로 정신병원에 들어가기"를 출판했습니다. 이 실험은 정신병 병력이 없는 8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12개의 정신과 병원에 입원하도록 했습니다. 환자들은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았습니다. 연구의 후반 부분에서 한 병원은 데이비드 로젠한에게 유사한 실험을 하도록 도전했습니다. 193명의 신규 환자 중 83명이 가짜 환자일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사실은! 놀랍게도 데이비드 로젠한은 환자를 보내지 않았습니다. 결국, 이 연구는 정신 장애가 없는 사람과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구분할 때 현존하는 형태의 진단이 매우 부정확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







--- 이렇게 데이비드 로젠한에 대한 것을 적어보았는데요! 



마지막! 다음은 '밀그램 실험, 권위에의 복종'어로 알려진 [ 스탠리 밀그램 ]에 대해서 이번 글에서는 살짝만 적어볼까 합니다.




스탠리 밀그램( 1993년 8월 15일 ~ 1984년 12월 20일)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입니다. 하버드 대학교 재직 중 '작은 세상 현상'을, 예일 대학교 재직 중에는 '복종 실험'으로도 불리는 [밀그램 실험]을 수행해 대단한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1984년 심장마비로 뉴욕에서 사망하였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의 주요학자 (11)  (0) 2022.11.17
심리학의 주요학자 (10)  (0) 2022.11.16
심리학의 주요학자 (8-1)  (0) 2022.11.15
심리학의 주요학자 (8)  (0) 2022.11.15
심리학의 주요학자 (7)  (0) 2022.11.14